개요

지급보증으로 인한 프리미엄을 받더라도 공정가치가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, 이 경우 회계처리에 대한 IFRS상 명확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음. 일반적으로 종속/관계기업에 대한 금융보증부채의 경우 공정가치를 측정하여 부채를 인식하고, 동시에 3가지 회계처리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음.

 

대안(1). 투자주식의 납입으로 보아 투자금액에 가산(KPMG View)
> 투자주식이 증가하며, 지급보증갱신마다 주식금액이 누적증가하므로 미래 손상이슈 발생할 가능성 있음.

 

대안(2). 보증채무를 부담하였으나, 실제 보증부담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보증료를 선급한 것으로 보아 선급비용처리

 

대안(3). 보증비용 처리 후 금융보증부채 상각을 통해 수익처리
> 보증기간 전체로 보았을 때 순손익효과 없으나, 기간손익 왜곡됨

 

공정가치계산

보증금액 * 스프레드 * ( 잔여일수 / 365 )

 

1. 보증금액
> 지급보증 제공기업이 보증하기로 한 금액 
> 금융기관조회서 상 확인가능

 

2. 스프레드 
> 금융보증을 제공받는 법인의 현재 차입이자율 - 연대보증 등이 없는 경우의 예상차입이자율
> 연대보증 등이 없는 경우의 예상차입이자율은 별도로 은행에 요청해야함.

 

3. 잔여일수/365                
> 잔여일수는 금융보증의 공정가치를 계산하고자 하는 기준일부터 해당 차입금의 만기일까지의 일 수를 의미함 
> 365을 나누어준 이유는 연환산으로 치환하기 위해서임.

 

'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BL·ABS  (0) 2023.02.13
시행사 미분양재고 임대 시 이슈  (0) 2023.02.10
유산스  (0) 2023.02.10
온렌딩(on-lending) 대출  (0) 2023.02.10
이자비용 Overalltest  (0) 2023.02.09
기업구매자금대출 이해 및 회계처리  (0) 2023.02.08
차량운반구 취득과 관련된 증빙  (0) 2023.02.05
한국사이버진흥원 교육비 환입 시 회계처리  (0) 2023.02.05